회원 로그인
회원 가입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회원가입으로 서비스 약관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동의합니다.



핫이슈 | 시사 | 경제 | 일반 | 환경
최종편집일 : 2024년 11월 14일 06:44:17
일반    |  뉴스  | 일반
김명원의원, 경기도의회 부천상담소  
경기도 택시제도 개선 방안모색 간담회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보내기
기자 : 김경순 기자 등록일 : 2019-05-23 15:34 최종편집일 : 2019-05-23 15:34
190523 김명원 경기도택시제도 개선 방안모색 간담회 (1).jpg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김명원의원(더불어민주당, 부천6)경기도 택시제도 개선을 위한 방안모색 간담회를 지난 22일 경기도의회 부천상담소에서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경기도 택시의 다양화 및 공급의 과잉으로 시장의 어려움과 고급택시제도의 문제점 개선 및 사용자의 서비스개선 보완정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간담회에는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경기지역본부 의장(김연풍), 한국노총부천김포지구 의장(박종현), 부천지역 법인택시노동조합 의장(조항민) , 부천시의회 김주삼의원, 경기도 교통국 택시정책과 관계자, 부천시 대중교통과 관계자 등이 참석하여 택시제도 문제점 개선을 위해 열띤 논의를 이어갔다.

 

190523 김명원 경기도택시제도 개선 방안모색 간담회 (2).jpg
 부천지역 법인택시노동조합 관계자는 현재 부천시는 신고제인 고급택시가 부제해제를 위한 개인택시에서 고급택시로의 무분별한 전환은 공급과잉으로 시장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또한 중형택시와 고급택시가 구별이 안가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배기량이 2800cc이상인 고급택시의 완전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는 인근 인천시 및 서울시의 고급택시 기본조례 예를 들어 고급택시의 운영체계, 서비스체계 등 고급택시 제도개선이 시급하다고 요청했다

 

이에 김명원의원은 택시업계종사자 및 운수사업자 그리고 사용자인 시민의 서비스개선을 위해서 택시제도 개선이 필요함을 공감한다. 또한 상부기관 및 관계기관의 협의를 통하여 기본 취지를 잘 이해하여 빠른 시일 내에 확인된 사항만이라도 사업구역이 경기도 전체인 만큼 경기도에서 전체운영방안, 서비스 사업주체 등 표준조례안을 만들어 주어야 31개 시· 군이 혼란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배석한 경기도 관계자는 상부 관계기관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서 긍정적인 검토를 하겠다.”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인기 기사 섹션별 인기기사
뉴스의 최신글
  용인특례시, 겨울철 자연재난 대비 종합대책 마…
  용인특례시, ‘플랫폼시티 시민자문단’2년간 성…
  용인특례시, 인공지능 기술 활용한‘사람길 용인…
  용인특례시, 세계적 반도체 장비 기업 도쿄일렉…
  용인특례시, 용인소방서 의용소방대연합회에 차량…
  용인특례시, 세계적 반도체 장비 기업 도쿄일렉…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김장 김치에 담긴 사랑…
  가을 감성 전시회
  용인특례시, 30일까지 김장철 원산지표시 특별…
  용인특례시 평생학습관(수지), 특별강좌 수강생…
소비환경뉴스 - 생명의 존귀,양심적 소비,치유환경을 위한 2024년 11월 17일 | 손님 : 0 명 | 회원 : 0 명
뉴스
핫이슈 
시사 
경제 
일반 
환경 
오피니언
사설 
칼럼 
사람이 좋다 
시민기자수첩 
어머니기자단수첩 
2024 신년사 
커뮤니티
오늘뭐먹지? 
여행을떠나요 
행사알리미 
정보알리미 
일상나누기 
소비환경고발센터
소비자고발센터 
환경고발센터 
소비환경뉴스 회사소개    |    회원가입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기사제보    |    광고안내/신청
  • 제호:소비환경뉴스 / 편집발행인:김경순 / 등록번호:경기, 아50798 /창립일:2013.10.28./ 주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로27
    TEL : 031)336-3477 / FAX : 031)336-3477 / E-MAIL : sobien5160@naver.com
    Copyright© 2015~2024 소비환경뉴스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