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민의 89.4%는 다른 지역에서 이주해 왔는데도 불구하고 시민 열 명 중 일곱 정도는 용인시를 고향처럼 여기거나 살만한 도시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열 명 가운데 세 명 정도가 집 때문에 5년 내 이주할 계획이 있다고 했으나 이 가운데 절반가량이 용인 내에서 이주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용인시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용인시 사회조사 보고서를 발간하고 용인통계에 게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32.2%의 시민이 현 거주지에서 15년 이상 거주했으며 22%가 10년 이상~15년 미만, 19.3%가 5년 이상~10년 미만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후에도 이 지역에 거주할 것인지(정주의식)에 대해선 68%가 (어느 정도 또는 매우) 그럴 것이라고 했으며, 18.3%는 보통이라고 했고, 13.7%만이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용인이 그만큼 살만한 곳이란 얘기다.
다른 지역에서 태어난 시민을 포함해 용인을 고향이라고 생각하는 시민이 66.4%로 나타난 점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용인시민의 주택에 대한 만족도는 도내 평균(46.8%)에 비해 높게 나왔는데, 52.5%가 만족(매우 또는 약간)한다고 했고 11.2%만이 불만족(매우 또는 약간)하다고 했다. 보통이란 응답은 36.4%였다.
현 거주지에 만족한다는 응답도 39%로 19.7%인 불만족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불만족을 나타낸 시민들은 그 이유로 43.4%가 교통불편을 꼽았고 23.3%가 편의시설 부족, 9.9%가 주차시설 부족, 8.6%가 교육환경 열악, 6.6%는 주거시설 열악 등을 제기했다.
통근‧통학을 하는 시민의 비율은 63.6%로 도내 평균(65.4%)보다는 약간 낮았는데 평균 소요시간은 42분이었다. 이는 서울지역으로 19.7%, 도내 타 시‧군으로 28%나 다니는 등 관외 통근‧통학 비율이 50.2%나 되기 때문으로 보인다.
직장 소재지별 통근 소요시간은 편도로 서울 72분, 인천 80분, 도내 타 시‧군은 44분으로 집계됐다. 통학에 필요한 시간은 이보다 길어서 서울 97분, 인천 126분, 도내 다른 시‧군 65분 등으로 나타났다.
통근 수단으로는 승용차 비중이 57.3%로 가장 높았고 이어 버스(20.2%), 전철(13.4%), 도보(6.1%) 순으로 나타났다. 통학하는 학생들은 49.7%가 버스를 이용하며, 이어 도보(26.3%), 전철(16.8%), 승용차(4.9%)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가구가 생활비 지출 시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부문은 주거비(22.5%)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교육비(22.3%)와 식료품비(18.5%), 보건의료비(16.4%), 교통통신비(4.2%) 순으로 썼다. 부담스러운 지출이 없다는 응답은 12.2%였다.
특히 20대 가구는 42%, 30대 가구는 33%가 주거비를 가장 부담스럽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가 급증하는 추세와 맞물려 젊은 세대의 주거비 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시민들은 일자리 발굴(30.6%)을 비롯해 취업알선(19.6%), 창업 등 지원(15.6%), 직업훈련(15.0%) 등을 꼽았다.
시민들이 사회복지 가운데 우선 지출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는 출산‧보육 지원이 43%나 됐고, 노인복지사업 확대(30%), 저소득층 구호(17.5%), 장애인복지 확대(6.4%), 외국인 지원(1.2%) 등이 뒤를 이었다.
시정과 관련해 중‧고교 신입생 교복 지원 사업을 아는 시민은 51%나 됐으나, 시민안전보험을 아는 시민은 14.1%에 불과했다. 또 희망도서바로대출제(21%)나 용인와이페이(22.2%)의 인지율도 낮게 나타났다.
살기 좋은 정주 환경을 위해 필요한 정책으로 시민의 30.2% 출퇴근 교통 개선‧광역교통망 구축을 꼽았고 이어 난개발 없는 친환경 지역개발 추진(27.9%), 시민이 행복한 주거복지 정책(9.4%), 공공복지 서비스 강화(8.2%) 순으로 답했다.
이번 사회조사는 지난해 8월27일 0시 기준으로 15일간 진행됐다. 조사는 표본으로 추출한 1,590가구를 조사원이 직접 방문해 면접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용인시 사회조사 보고서의 자세한 내용은 ‘용인통계’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