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 로그인
회원 가입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회원가입으로 서비스 약관개인정보 보호 정책에 동의합니다.



핫이슈 | 시사 | 경제 | 일반 | 환경
최종편집일 : 2025년 07월 13일 21:59:02
일반    |  뉴스  | 일반
용인특례시, 시 공직자 등 222명 수해 복구 작업 두 팔 걷어  
- 시청 앞 우수관로 준설, 동천동 하손곡교~그린교 산책로 유실 구간 긴급 복구 등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트위터로 보내기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카카오스토리으로 보내기
기자 : 김경순 기자 등록일 : 2022-08-17 00:11 최종편집일 : 2022-08-17 00:11

소비환경뉴스 / 일반


소비환경뉴스 / 일반

용인특례시 공직자들과 환경미화원, 의용소방대원 등이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 복구 지원을 위해 두 팔을 걷어붙였다.

시는 16일 시청 근무 공직자 49명이 모현읍 일산리, 갈담리, 매산리 등의 침수 현장 6곳에 배치돼 가재도구 세척과 물품 정리 등을 도왔다고 밝혔다.

이날 수지구청 직원, 환경미화원, 의용소방대원 등 173명도 수지구 동천동 일대 농장, 주택·도로 등 7곳에서 폐기물을 수거하고 주변을 정리하며 구슬땀을 흘렸다.

지난 15일에는 11일 부임한 황준기 제2부시장이 처인구 모현읍 오산리·동림리, 수지구 동천동 일대 수해 현장을 찾아 피해를 살폈다.

시 곳곳의 수해 피해 복구 작업에도 한층 속도가 붙었다.

시는 이날 처인구 삼가2지구 공동주택 사업시행자가 개설한 공사용 임시도로 배수시설이 집중호우로 쓸려 내려온 토사에 막혀 시청 앞 도로가 침수되는 현상이 발생해 우수관로 긴급 준설 작업을 시작했다.

앞선 14일에는 이상일 용인시장의 지시로 수지구 동천동 고기교 하상 긴급 준설 작업을, 15일에는 수지구 동천동 하손곡교~그린교 산책로 유실 구간에 대한 긴급 복구 공사를 시작했다.

이와 관련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이날 간부회의를 주재하며 “수해 피해를 정확하게 파악해 집계하고 복구를 위해 국도비 확보, 특별재난지역 지정에도 각별히 신경 써 달라”고 주문했다.

이 시장은 또 “이번 연휴 동안 복구작업과 대민 지원을 위해 애써주신 3개구 구청장님과 직원들 신속한 복구에 힘을 보태주신 환경미화원, 주민단체 등 봉사자들, 생활폐기물 수거대행업체 관계자들께 진심으로 감사하다”며 “동천, 모현 일대 피해가 큰 만큼 공직자들이 솔선수범해 수해 복구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이 시장은 이와는 별개로 “22일부터 을지연습이 시작되는데, 을지연습이 자유를 지키기 위한 대응 훈련인 만큼 그 의미가 퇴색되지 않도록 훈련 참여에 철저를 기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이 시장은 이날 회의 직후 기흥구 보라동과 상갈동, 구성동, 마북동, 보정동을 차례로 방문해 주민 대표들과 지역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지난 8일 읍·면·동 순회 방문 시작한 이후 관내 38개 읍·면·동 중 모두 16곳을 방문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신 기사 인기 기사 섹션별 인기기사
뉴스의 최신글
  용인특례시, 곳곳에서 뜻깊은 주민 행사
  용인특례시, 이웃 위한 온정의 손길 이어져
  용인특례시 기흥구, 시민의 편의 높이기 위한 …
  용인특례시, 민원 편의 증진 위한 디지털 행정…
  용인특례시 수지구, 폭염 대비 노숙인 보호 위…
  용인특례시, 민원 편의 증진 위한 디지털 행정…
  용인특례시, 폭염 대비 가축 피해 예방에 16…
  용인특례시, 양지면 경남아너스빌디센트 지하주차…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보건복지부에 복지서비스 …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우상혁 선수 모나코 다이…
소비환경뉴스 회사소개    |    회원가입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    기사제보    |    광고안내/신청
  • 제호:소비환경뉴스 / 편집발행인:김경순 / 등록번호:경기, 아50798 /창립일:2013.10.28./ 주소: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호동로27
    TEL : 031)336-3477 / FAX : 031)336-3477 / E-MAIL : sobien5160@naver.com
    Copyright© 2015~2025 소비환경뉴스 All right reserved